本期单词本
강조하다 强调
분석 分析
성비 性别比例
(불)균형 (不)均衡
암울하다 暗淡
추가 追加
정상 범위 正常范围
선호 偏爱
초래하다 导致,引发
확률 概率
장기적 长期的
“한국 미혼남성 80만은 한국 여성과 결혼 못 해”
“80万韩国单身男性无法娶韩国女性”
"한국의 미혼남성 시한폭탄 곧 터진다(South Korea’s bachelor time bomb is about to really go off)"
“韩国的单身汉定时炸弹即将真正爆炸”
1980~1990년대 출생 성비 불균형으로 약 70만~80만 명의 한국 미혼남성들이 결혼할 한국 여성을 찾지 못할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특히 해당 시기 한국의 출생성비 불균형이 나타난 이유로는 출산율 급감에도 여전히 강고했던 ‘남아선호사상’이 영향을 미쳤다는 지적이다.
分析表明,由于20世纪80年代和90年代出生性别比失衡,大约70万至80万韩国单身男性可能无法找到韩国女性结婚。特别指出,这一时期韩国出生性别比失衡的原因是受“重男轻女思想”的影响,尽管出生率急剧下降,但这种思想仍然很强烈。
8일(현지시간) 학술저널 더컨버세이션은 더들리 포스턴 미국 텍사스 A&M대학 사회학과 명예교수의 ‘한국의 성 불균형은 남성에게 나쁜 소식이다. 남성 수가 여성보다 많고, 결혼 전망은 암울하다’는 제목의 기고문을 실었다.
当地时间8日,学术期刊《对话》(The Conversation)刊登了德克萨斯农工大学社会学名誉教授达德利·波斯顿(Dudley Poston)的文章,题为《韩国的性别失衡对男性来说是个坏消息。男人比女人多,婚姻的前景黯淡》。
포스턴 교수는 남성의 결혼 전망이 암울해진 이유로 1980년대와 1990년대 출생성비 불균형을 원인으로 꼽았다. 실제로 한국의 1985년 출생성비는 여아 100명당 남아 110명, 1990년에는 여아 100명당 남아 115명으로 늘었다. 이후 2000년대 초까지도 남아가 훨씬 많이 태어나다가 2010년 정상 범위로 돌아왔다.
波斯顿教授将1980年代和1990年代出生成本的差异归因于男性婚姻前景黯淡的出生率差异。事实上,韩国的出生率从1985年的每100个女孩110个男孩上升到1990年的每100个女孩115个男孩。后来,直到 2000 年代初,出生的男孩数量要多得多,2010 年他们恢复到正常范围。
대부분 국가에서 여아보다 남아가 더 많이 태어나지만 그 비율은 여아 100명당 남아 약 105~107명 수준이다. 성비 불균형은 여성이 남성보다 더 오래 산다는 생물학적 사실에 따른 진화론적 적응 결과일 수 있지만 한국의 30~40년 전 출생성비는 이를 훨씬 웃돈다는 분석이다.
在大多数国家,出生的男孩多于女孩,但这一比例约为每100个女孩105~107个男孩。性别失衡可能是基于女性比男性长寿的生物学事实的进化适应的结果,但分析是30~40年前韩国的出生率远高于此。
포스턴 교수는 한국에서 출산율이 급격히 감소했음에도 불구 여전히 강한 ‘남아선호사상’이 이 같은 불균형을 초래했다고 지적했다. 포스턴 교수는 "아들에 대한 문화적 선호는 출산율이 감소하는 만큼 빠르게 바뀌지 않았다"며 "많은 한국인은 아들을 가질 수 있도록 임신 초기 단계에서 태아의 성별을 식별하는 기술을 사용했다"고 설명했다.
波斯顿教授指出,尽管韩国的出生率急剧下降,但仍然强烈的“重男轻女”导致了这种不平衡。“对儿子的文化偏好并没有像生育率下降那样迅速改变。”波斯顿解释说,并补充说,许多韩国人在怀孕早期使用技术来识别胎儿的性别,以便能够生儿子。
특히 포스턴 교수는 "남는 소년들은 성인이 돼 결혼할 한국 여성을 찾는 데 실패할 것"이라며 "1980년부터 2010년까지 한국의 출생성비 불균형으로 인해 약 70만~80만 명의 남자아이가 추가로 태어났다고 추산된다"고 강조했다.
波斯顿教授特别强调,“剩下的男孩长大后将无法找到韩国女性结婚”,并且“据估计,由于韩国出生率的不平衡,从1980年到2010年,大约有70万~80万名男孩出生。
이들이 아직 미혼일 경우 한국 여성을 만나 결혼할 확률이 낮아진다는 의미다. 포스턴 교수는 "결혼 시장과 관련된 장기적인 사회 문제는 앞으로도 수십 년 동안 한국에 남아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这意味着,如果他们仍然未婚,他们就不太可能遇到并娶一个韩国女人。“与婚姻市场相关的长期社会问题将在未来几十年内留在韩国。”波斯顿说。